TOP

SIMS News

번호 이미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72

급성 허혈성 뇌졸중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착수

순천향의생명연구원(SIMS) 이만열 교수와 천안병원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가 공동으로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허혈성 뇌졸중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이만열‧오재상 교수는 최근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이 공모한 재생의료 치료제 확보기술 개발 분야에서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를 위한 동종 배아줄기세포 유래중간엽줄기세포의 전임상연구 개발’ 과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향후 4년간 17.4 억원의 연구비(국비 13.4억, 기업 2억, 도비 2억)를 지원받게 된다.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는 뇌졸중 수술과 인지장애 치료 전문의로서 최근 급격히 늘어나는 허혈성 뇌졸중 후유장애에 대해 꾸준히 연구하면서 특허와 국제 학술 논문을 출판하는 등 임상과 전임상연구 모두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오재상 교수는 “....

admin

2022-04-12
71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진행기전 최초 규명

최근 비만인구의 가파른 증가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NAFLD) 환자가 덩달아 급....

admin

2022-04-07
70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이명식 교수 우수논문 출간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소속 이명식 석좌교수가 Nature Communications에 Lysosomal Ca2+-mediated TFEB activation modulates mitophagy and functional adaptation of pancreatic beta-cells to metabolic stress를 주제로 논문 출간

admin

2022-03-21
69

순천향의생명연구원 대학원생 국내 최고 권위 의생명과학분야 장학생 선정

국내 의생명과학분야 최고 권위 장학 사업 장학생 선정지난 15일,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의생명융합학과에 박사과정으로 재학 중인 정지훈 (27, 사진)학생이 2022년도 아산사회복지재단 국내 의생명과학 분야 장학생에 신규 선정됐다.아산사회복지재단의 ‘의생명과학 분야 국내 대학원 장학사업’은 우리나라 의생명과학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이 등록금과 학술활동비 등 연간 2,0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하는 국내에서 권위 있는 장학 사업이다. 신청자격은 SCIE 저널에 주저자 논문을 보유하며, 대학원 성적 평점이 4.0이상 (4.5점 만점)이어야 하는 등 매우 까다로운 자격조건이 필요하다. 정지훈 학생은 현재 순천향의생명연구원에 재학 중 황용성 교수 연구팀에서 현재 제1저자 2편, 참여저자 3편의 SCI급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admin

2022-02-24
68

순천향대, 세계 과학자 리스트 최상위 2%에 연구자 12명 이름 등재

[충남=뉴스프리존] 김형태 기자= 순천향대학교는 국제저널 엘스비어(Elsevier)와 미국 스탠포드 대학이 발표한 ‘최상위 2% 세계 과학자 리스트’에 12명 연구자 이름을 등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순천향대학교에 따르면 ‘최상위 2% 세계 과학자 리스트’는 22개 과학 분야, 176개 세부 분야별로 최소 5편 이상 논문을 발표한 전 세계 연구자 중 우수 학술논문 인용지수 ‘SCOPUS’에서 제공한 데이터베이스 바탕으로 산출된 논문 피인용도 따른 영향력 기준으로 최종 선정한다.이번 발표에서 순천향대는 대전·충청지역 사립대학 중 가장 많은 연구자가 이름을 올리게 돼 대학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한 그간 노력이 결실을 보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과 업적을 인정받았다. 연구자 생애 업적 기준으로는 △김대영(화학) △남윤영(컴퓨터공학) △유일선(정보보호학) △이병국(예방의학) △이병택(재생의학) △장기현(영상의학) 등 6명의 연구자가 상위 2%에 이름을 올렸으며, 2020년 당해 연도 기준으....

admin

2021-11-22
67

순천향의생명연구원 대학원생 박소영 내분비학회 및 분자세포생물학 학회 우수연구상 수상

    우리대학 의생명융합학과 박사과정 박소영 학생이 저명한 국제 학술대회인 서울국제 내분비대사학회와 국제 분자세포생물학회에서 우수연구상을 수상했다.   위 두 개의 국제학술대회는 국내에서 열리는 저명한 국제학회로서 국내의 저명한 연구자들이 최신 연구실적을 발표하고 의견을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 중 신진연구자로서 학위과정 또는 박사후연구원들의 연구주제 중 가장 우수한 연구들을 선정하는데, 이번 박소영 학생의 수상은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 우수한 연구기관들과의 경쟁 속에서 이룬 쾌거로 그 연구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박소영 학생은 SICEM(Seoul International Congress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의 ‘Plenary oral presentation award’ 부문과, KSMCB(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admin

2021-11-22
66

순천향대 대사질환조직항상성연구센터, ‘제3회 대사질환 국제 심포지엄’ 진행

순천향대(총장 김승우)는 대사질환조직항상성연구센터(센터장 이종순)가 12일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제3회 대사질환 국제 심포지엄’을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3회째를 맞는 이번 심포지엄은 인슐린 발견 100주년을 기념해 당뇨병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9개국 12명의 세계적 석학을 초청해 최신 당뇨병 치료 정보와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활발한 글로벌 교류 협력을 도모하고자 ‘Metabolism Research around the World“라는 주제로 온라인 비대면으로 개최되었으며, SNS를 통해 전 세계에 실시간 생중계되었다. 심포지엄은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당뇨병 전문기관인 하버드 의과대학 조슬린 당뇨병센터(Joslin Diabetes Center)의 수석 학자 Ronald Kahn 박사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국가별(북미,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 3개 세션의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토론토대 Daniel Drucker 교수 △콜롬비아대 Domenico Accili....

admin

2021-11-13
65

순천향의생명연구원 박사후연구원 국제 학술대회 Young Scientist 상 수상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Organoid society 2021 에서 순천향의생명연구원 박사후 연구원 Panida Sittipo 박사가 Young Scientist 상을 수상하였다.Panida Sittipo 박사는 2020년 순천향의생명연구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현재 박사후 연구원 과정에 진행중에 있다.

admin

2021-11-04
64

순천향의생명연구원 문종석 교수팀, 알츠하이머 치매 발달 기전 발견

국제학술지 ‘Redox Biology’ 5월호에 게재 왼쪽부터 문종석 교수, 박민우 학생[한국대학신문 이원지 기자] 순천향대학교(총장 김승우) 순천향의생명연구원(SIMS)의 문종석 의생명융합학과 교수 연구팀이 NOX4 활성에 의한 Astrocyte(별아교세포)의 Ferroptosis(페롭토시스) 활성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달에 중요한 기전임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뇌 조직 및 치매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에서 NOX4(NADPH oxidase 4)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미토콘드리아 대사기능 손상을 유도해 별아교세포의 기능 손상 및 죽음이 증가함을 밝혀냈다.그 결과 NOX4에 의한 별아교세포의 페롭토시스 활성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달에 중요한 기전임을 확인했다.연구결과는 최근 ‘NOX4의 미토콘드리아 대사기능 손상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 유발 Ferroptosis 증가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기전’이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IF....

admin

2021-06-11
63

보건복지부, 순천향대 천안병원 ‘첨단재생의료기관’ 지정

[천지일보 천안=박주환 기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병원장 이문수)이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첨단재생의료기관으로 지정됐다.15일 순천향대 천안병원에 따르면 첨단재생의료기관은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라 줄기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치료, 융복합치료 등을 연구 실시하는 곳이다.순천향대 천안병원은 첨단재생의료기관 지정으로 현재 충청권을 대표해 진행하고 있는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 등 다양한 맞춤형 의료기술 개발에 더해 보다 넓고 심도 있는 바이오-메디컬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이문수 순천향대 천안병원장은 “많은 교수들이 세계적인 의학연구소로 발돋움한 순천향의생명연구원(SIMS)과 함께 수십여 건에 달하는 국책 연구 과제를 수행 중”이라며 “첨단재생의료분야에서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출처 : 천지일보(http://www.newscj.com)

SIMS

2021-03-16